• Home
  • About
    • Ryureka Moment photo

      Ryureka

      Sin Prisa, Sin Pausa

    • About Me
    • Facebook
    • Github
    • Youtube
  • Projects
  • Posts
    • Posts
    • ProblemSolvings
    • Tags
    • Blog
    • TIL
    • Examples
  • ProblemSolving
    • ProblemSolving
    • BruteForce
    • DFS
    • DP
    • Optimization
  • FrontEnd
    • FrontEnd
    • HTML
  • BackEnd
    • BackEnd
    • Spring
    • Node.js
    • DataBase
      • MySQL
  • Programming
    • Programming
    • Java
    • Python
  • ComputerScience
    • DataStructure
    • Algorithm

[파이썬 기초 문법] 4장. int형 데이터와 float형 데이터

19 Jun 2019

Reading time ~1 minute

이 포스트는 윤성우님의 저서 열혈 파이썬 기초편을 기반으로 작성한 글입니다.
  • 윤성우 열혈 파이썬 기초편
    • 4장.int형 데이터와 float형 데이터
      • 1.int형 데이터와 float형 데이터의 차이점
      • 2.변수의 형태를 확인하는 type 함수
      • 3.기본적인 산술연산
      • 4.int함수와 float함수
      • 5.int형 변환과 float형 변환
      • 6.복합 대입
      • 7.소괄호

윤성우 열혈 파이썬 기초편

4장.int형 데이터와 float형 데이터

1.int형 데이터와 float형 데이터의 차이점

>>> num = 2       # 정수는 정확한 값 저장
>>> print(num)
2
>>> num1 = 1.000000000000001      # 실수는 오차가 존재
>>> num2 = 1.1
>>> print(num1 + num2)
2.1000000000000014


2.변수의 형태를 확인하는 type 함수

>>>n1 = input("n1:")
>>> type(3)
'''
<class 'int'>
'''
>>> type(3.1)
'''
<class 'float'>
'''
>>> type(3.0)
'''
<class 'float'>
'''

3.기본적인 산술연산

>>> 3 ** 2   # 거듭제곱을 계산
9
>>> 5 / 2    # 실수형 나눗셈 계산
2.5
>>> 5 // 2   # 나눗셈의 몫을 계산
2
>>> 5 % 2    # 나눗셈의 나머지 계산
1

4.int함수와 float함수

해당 함수에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전달할 경우 숫자로 바꿔주어 eval함수를 대체할 수 있다.

>>> num = 10
>>> num = float(num)
>>> type(num)
'''
<class 'float'>
'''
>>> num = float("3.14")
>>> type(num)
'''
<class 'float'>
'''
>>> height = float(input("height: "))
height: 165.3
>>> print(height)
165.3

5.int형 변환과 float형 변환

float형을 int형으로 변환할 경우 소수점이하 버림

>>> num = int(3.14)
>>> print(num)
3

6.복합 대입

>>> num = 10
>>> num += 1 		# num = num + 1을 줄인 표현
>>> print(num)
11
num = num - 3  # num -= 3을 줄인 표현
num = num * 3  # num *= 3을 줄인 표현

7.소괄호

>>> 3 + 4 / 2
5.0
>>> (3 + 4) / 2
3.5


Python Share